로고

지원엠텍
  • 온라인문의
  • 비회원온라인문의
  • 비회원온라인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조회Hit 2회 작성일Date 25-07-15 16:30

    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우주항공청(이하우주청)이 공동으로 주최한 ‘6G 위성통신 컨퍼런스2025’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스타링크부터 원웹, 아마존 카이퍼까지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한 위성통신망 영토전쟁이 한창이다. 다가오는 6G 시대, 지상망 뿐 아니라 공중에서도 통신 인프라를 공급할 수 있는 위성통신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응해 한국만의 기술주권 확보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국내에서 자체 위성을 보유 중인 KT sat은 그 시작이 다양한 고도에서 서비스 가능한 통신 활로를 구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고 봤다. 이에 KT sat은 저궤도위성와 중궤도위성 구분 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성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데 집중하고 있다.15일 최경일 KT sat 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공동으로 주최한 ‘6G 위성통신 컨퍼런스2025’에서 ‘6G 위성통신의 글로벌 동향: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위성통신 기술은 단순히 상업적으로 살아남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점점 더 국가우선주의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필요성을 세계에 어떻게 부각시킬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궤도·정지궤도 위성통신에 이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이 본격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중궤도 위성가 위치한 고도에 비해 더 낮은 고도(250Km~2000Km)에서 작동한다. 커버리지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낮은 고도에서 주파수를 전달하는 만큼 지연이 적고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과기정통부에서도 지난 5월30일 ▲스타링크코리아-스페이스X 간 국경 간 공급 협정 ▲한화시스템, KT SAT이 유텔샛 원웹(이하 원웹)과 각각 체결한 국경 간 공급 협정 등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공급에 관한 총 3건 협정을 모두 승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해외 위성통신 기술의 본격 국내 진출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저궤도 위성 기술을 상용화 시발점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이 같은 상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우주항공청(이하우주청)이 공동으로 주최한 ‘6G 위성통신 컨퍼런스2025’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스타링크부터 원웹, 아마존 카이퍼까지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한 위성통신망 영토전쟁이 한창이다. 다가오는 6G 시대, 지상망 뿐 아니라 공중에서도 통신 인프라를 공급할 수 있는 위성통신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응해 한국만의 기술주권 확보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국내에서 자체 위성을 보유 중인 KT sat은 그 시작이 다양한 고도에서 서비스 가능한 통신 활로를 구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고 봤다. 이에 KT sat은 저궤도위성와 중궤도위성 구분 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성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데 집중하고 있다.15일 최경일 KT sat 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공동으로 주최한 ‘6G 위성통신 컨퍼런스2025’에서 ‘6G 위성통신의 글로벌 동향: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위성통신 기술은 단순히 상업적으로 살아남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점점 더 국가우선주의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필요성을 세계에 어떻게 부각시킬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궤도·정지궤도 위성통신에 이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이 본격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중궤도 위성가 위치한 고도에 비해 더 낮은 고도(250Km~2000Km)에서 작동한다. 커버리지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낮은 고도에서 주파수를 전달하는 만큼 지연이 적고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과기정통부에서도 지난 5월30일 ▲스타링크코리아-스페이스X 간 국경 간 공급 협정 ▲한화시스템, KT SAT이 유텔샛 원웹(이하 원웹)과 각각 체결한 국경 간 공급 협정 등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공급에 관한 총 3건 협정을 모두 승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해외 위성통신 기술의 본격 국내 진출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저궤도 위성 기술을 상용화 시발점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이 같은 상황은 한국 입장에서 위기와 기회 공존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