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천의 암각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자, 최응천 국가유산청이 손을 번쩍 들고 환호하고 있다.(국가유산청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선사시대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가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에 등재됐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이후 15년 만에 맺은 결실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총 17건(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12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높이 약 4.5m, 너비 약 8m 암면에 바다동물과 육지동물 등 312점이 새겨져 있다. 특히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과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가유산청 제공)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면서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이어진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자,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의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국가유산청 제공)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등재를 결정하면서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하고, 반구천세계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며,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주민들의 역할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 편집자 주 = 기후 온난화는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고 있습니다. 농산물과 수산물 지도가 변하고, 해수면 상승으로 해수욕장은 문 닫을 위기에 처했습니다. 역대급 장마와 가뭄이 반복되면서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기도 합니다. '꽃 없는 꽃 축제', '얼음 없는 얼음 축제'라는 웃지 못할 해프닝도 생겨납니다. 이대로면 지금은 당연시하고 있는 것들이 미래에는 사라져 못 볼지도 모릅니다. 연합뉴스는 기후변화로 인한 격변의 현장을 최일선에서 살펴보고, 극복을 모색하는 기획 기사를 매주 송고합니다.] 김제 양봉농가 꿀벌 [촬영 김진방] (전주=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꿀벌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면 인류도 4년 내 멸종할 것이다.'1965년 브뤼셀에서 열린 프랑스 양봉가들의 '농약 사용 반대 캠페인'에서 처음 인용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의 이 발언은 꿀벌이 인류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아인슈타인이 직접 이 발언을 하지 않았다는 게 학계의 주된 의견이지만, 실제 꿀벌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진위를 떠나 크게 과장된 표현은 아니다.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작물 중 71종이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전 세계 농작물 생산량으로 환산하면 전체의 약 35%를 꿀벌이 담당하는 셈이다.최근 들어 꿀벌이 갑자기 집단 실종됐다는 소식이 국내를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들려온다. 꿀벌이 인류 생존에 기여하는 바를 생각하면 심히 우려되는 일이다.전문가들은 이상기후와 꿀벌응애 등 해충 피해를 꿀벌 집단 실종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벌통 안을 들여다보는 김종화 한국양봉협회 부회장 [촬영 김진방] 사라지는 꿀벌들…양봉 농가는 '막막'인류 생존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꿀벌이 정말로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로완 제이콥슨이 쓴 '꿀벌 없는 세상, 결실 없는 가을'이라는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이 책은 2006∼2007년 미국 전역에서 꿀벌 집단이 갑자기 사라진 '군집붕괴현상'을 배경으로 쓰였다. 책에서 꿀벌 실종 현상은 곧바로 농업과 식량 위기로 이어진다. 제이콥슨은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세계 최대 규모인 플로리다의 감귤 농업이 15년 후까지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한다.꿀벌이 겨울을 난 뒤 사라지는 사례는 미국과
'반구천의 암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