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池原M-TECH
  • 온라인문의
  • 비회원온라인문의
  • 비회원온라인문의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조회Hit 2회 작성일Date 25-07-17 10:41

    본문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엔비디아 인공지능(AI) 반도체인 H20 칩의 중국 수출을 허가한 것은 미중 관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초기 신호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보도했다.SCMP는 전문가들 분석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수개월 후 이뤄질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번 조치가 나왔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미국과 중국을 연결한 컴퓨터 지도 [홍콩 SCMP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오는 10월말께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미국 투자회사 루미스세일즈 인베스트먼트 아시아의 글로벌 거시경제 전략가인 좡 보는 H20 칩의 중국 판매 허가에 대해 "중국의 확실한 승리"라면서 "외교적인 용어로는 '상호 존중과 평등'으로 표현되겠지만 그동안 중국 당국이 오랫동안 추구해온 G2 스타일의 협상에 한 걸음 더 다가갔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중국 정부 고문을 지낸 대외경제무역대학 국제무역전문가 추이판 교수는 "미국의 H20 수출 통제 완화는 중국과 미국 모두에 긍정적 조치이고 베이징에 더 큰 전략적 의미를 지닌다"고 짚었다.그는 "중국도 AI 칩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성능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H20 수출 규제 완화로 중국으로서는 공급망 전반에 걸쳐 시너지 효과를 촉진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엔비디아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고사양 AI 반도체의 대(對)중국 수출을 불허하자 그보다 성능이 낮은 H20 칩을 제작해 중국에 수출했으나, 작년 말 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이 그마저도 불허했으며 중국은 대미 희토류 수출통제로 맞섰다.중국 상무부가 지난 4월 4일 희토류 17종 가운데 7종의 대미 수출을 통제한다고 발표했다. 수출 금지는 아니지만 자국 업체들에 수출 허가를 받으라고 해 사실상 '희토류 무기화'를 선언한 것이다.그러다가 지난달 영국 런던에서 열린 2차 미중 무역 협상에서 중국의 대미 희토류 수출통제와 미국의 대중국 수출통제 일부의 해제를 맞교환하기로 합의했고, 엔비디아 H20의 중국 수출로 이어졌다.이를 두고 미국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인천 청라소각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인천시가 지난해 초 일선 기초자치단체 주도로 전환한 자원순환센터(소각장) 확충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17일 시에 따르면 내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2020년부터 추진해온 소각장 확충이 10개 군·구 중 절반에서 장기간 표류하고 있다.현재 소각장 확충이 가시화된 사업은 연수구, 남동구, 미추홀구가 함께 사용할 예정인 송도국제도시 내 기존 소각장 현대화 사업이 유일하다. 이 사업은 사업비 분담협약을 앞두고 있으며 2030년 준공할 계획이다.서구와 강화군이 공동으로 이용할 계획인 서구 신설 소각장은 이달부터 입지선정위원회를 재구성해 운영에 들어갈 방침이다.나머지 중구, 동구, 부평구, 계양구, 옹진군 등 5개 기초단체는 여전히 구체적인 확충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정부 계획대로 내년부터 직매립 금지가 시행되면 쓰레기를 직접 땅에 묻지 못하고 소각재만 매립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인천에서는 2023년 기준 1일 평균 4천170t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76%인 3천154t은 분리수거 등을 통해 재활용하고 있다.전체의 20%인 837t은 송도·청라소각장 등 광역소각장 2곳과 민간소각장 6곳에서 소각 처리 중이며 179t(4%)은 직매립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소각장이 부족하면 태우지도 못하고 땅에 묻지도 못하는 쓰레기 처리가 곤란해질 수밖에 없다. '쓰레기 대란'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는 이유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시가 주도해온 소각장 확충을 지난해 1월 군·구 주도 사업으로 전환했다.주민 반발과 군·구의 소극적인 태도 등으로 인해 사업이 계속 난항을 겪자 생활폐기물 처리를 군수·구청장의 책무로 정한 폐기물관리법을 근거로 기초단체에 확충 책임을 넘긴 것이다.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시의 이런 정책 전환에 대해 "소각장 건립을 촉진하기보다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와 비판이 쏟아졌다.시는 부평·계양구 등 5개 군·구의 소각장 확충이 지지부진한 상황이지만,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1년 넘게 고수하고 있다.인천시 관계자는